본문 바로가기

근현대사회학2

20세기 사회학 - 탈콧 파슨스 (Talcott Parsons)의 "사회체계"(1951) 요약과 핵심 20세기의 사회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미국의 사회학자 탈콧 파슨스(Talcott Parsons, 1902-1979)는 구조기능분석론이라는 이론에 기반한 사회 체계론으로 근현대의 사회를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했다. 특히 그의 저서 “사회체계” (1951년)은 중요한 사회학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는 작품으로, 사회체계의 복잡한 성격을 이해하기 위한 포괄적인 이론적 구조를 제시한다. 이 책은 여러 장(chapter)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은 사회체계와 그 작동에 대한 다양한 측면을 탐구한다. 오늘은 이 사회체계에 다한 간략한 개요와 핵심을 살펴보고자 한다. 1장: 사회 행위의 동기 이 장에서 파슨스는 어떤 사회체계의 근본적인 구성 요소는 개인의 행위라고 주장한다. 그는 계산적으로 수단과 목적을 판단하여 이.. 2023. 6. 16.
근현대 사회학의 시작 -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근현대 사회학 논문과 저널 중 큰 역할을 한 독일의 사회학자 막스 베버는 그의 저서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종교적 신념, 특히 프로테스탄트주의와 근대 자본주의의 상관관계를 탐구한다. 1864년에 태어나 활동한 독일의 사회학자, 정치학자, 역사학자이자, 현대 사화과학의 기반이 되는 중요한 이론가 중의 한 명인 막스 베버(Max Weber)는 사회학적 이해의 기반을 형성하며, 사회적 행위와 정치, 종요, 경제 등 다 향한 사회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했다. 무엇보다 베버는 그의 서적에서 프로테스탄트 윤리라는 새로운 개념을 소개하며 이것이 자본주의의 등장 시기에 경제적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이해하고자 하는데, 베버는 종교적 아이디어가 어떻게 경제적 행동에 영향을 미쳤.. 2023. 6. 15.